이번 주 요약
월-금, 일일 평균 노트북 사용시간 12시간
👍 Keep
미션을 수행하면서 강점으로 작용했고,
계속해서 지속하고 싶은 긍정적인 점을 작성
문제 이해 & 설계를 잘하자
→ 문제가 출제되면 문제를 이해하고, 설계하는 데에 시간을 많이 쓴다.
→ 설계가 잘 되면 코드는 술술 적힐 것- 피어세션 & 릴레이 프로젝트에서 먼저
리드하자
→ 리드하는 건 내 장점
→ 나는 광대니까 분위기를 먼저 만들자 미션이 이해가 안 되면 공부
를 하고 다시 보자
→ 감히 말해보자면, 미션의 난이도는 한 학기 동안 배우는 전공을 하루만에 해결해야 하는 수준이다.
→ 이걸 복습 안 하고 한다? 이기적인 것이라 생각함
🚨 Problem
미션을 수행하면서 겪었던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
문제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하기
나의 문제는 미션을 해결하는데에 초점을 둔 것
챌린지 1주차가 끝나고 수료생들의 조언을 듣는데, 가장 와닿았던 것이
“나는 이 곳에 과제를 하러 온 것인가, 학습을 하러 온 것인가?”
이다.미션으로 나오는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학습을 하려하지 않고, 미션만 해결하려고만 하는 내 자신을 고쳐야할 것 같다.
이 방법이 챌린지 수료 실패, 혹은 멤버쉽 탈락일 지라도, 나는 그렇게 할 것이다.
private var(set) 문법을 몰랐던 것,
피어세션 때 팀원이 나의 코드리뷰를 하면서 짚어준 내용이다.
private var pointer: Int
func getPointer() → Int
위처럼 쓰지말고
private var(set) pointer: Int
하시면 돼요!Swift 문법의 빈약함을 알았다.
Error 프로토콜을 상속받아 사용자 정의 Error를 만들 줄 모른다.
이것은 곧, 열거형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하다.
다음부터는 열거형에 조금 더 친숙해져보려 한다.
NSRegularExpression
VSRegex
정규표현식을 조금 익혀봐야 할 것 같다. iOS 16.0 이상부터는 Regex도 가능하다.
🛫 Try
작성한 'Problem'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점
혹은 다음 주에 시도할 새로운 접근 방식
챌린지 과정에 안 중요한 것은 없음
많은 내용을 압축해서 배우기에 양도 많고, 배울 것도 많다.
선택과 집중을 할 것이다.
14시까지는 문제 이해, 저녁먹기 전까지는 문제에 필요한 내용 익히기
문제 이해와 설계에 80% 시간을 써야할 것 같다.
체크포인트에 신경쓰지 않을 것이다.1주차 팀원 중에, 미션 구현을 하나도 못 하고
문제에 대한 개념만 익혀오신 분도 있다. (이분은 비전공자셨음)
나는 오히려 이 분이 대단하다고 느껴졌다. 나도 미션에 필요한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.
'✍🏻 회고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이버 부스트캠프] 챌린지 3주차 KPT 회고록 (0) | 2024.08.02 |
---|---|
[네이버 부스트캠프] 챌린지 2주차 KPT 회고 (1) | 2024.07.26 |
[회고] 회고를 잘하는 3가지 방법 (0) | 2024.07.21 |
[회고] rm .zshrc을 해버린 건에 대하여 (0) | 2024.06.30 |
[회고] 메타버스 수도 경북 해커톤 후기 (1) | 2023.1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