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중화 & 역다중화
다중화
메세지 수집 및 분리해서 캡슐화 한 후,
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
역 다중화
헤더 정보를 확인하여
수신된 메세지를 올바른 소켓에 전달
UDP 역다중화
수신 호스트가 UDP 세그먼트를 수신할 때,
목적지 포트번호 확인 후 알맞은 소켓에 전달
다른 호스트가 보냈더라도,
목적지 포트번호만 같으면 동일 소켓으로 전달
목적지 포트번호만 같으면
출발지가 어떻든 잘 도착함
TCP 역다중화
- 출발지 IP주소
- 출발지 포트번호
- 도착지 IP주소
- 도착지 포트번호
위 4가지가 모두 일치해야 같은 소켓에 감
서버는 동시에 많은 TCP 소켓 지원 가능
목적지 IP주소, 포트번호는 같지만
출발지 IP주소, 포트번호에 따라 소켓이 다르게 결정됨
요약
헤더 필드값(IP주소, 포트번호)을 읽어 목적지 소켓을 정하게 됨
UDP = 목적지 포트번호만 사용
TCP = 4개 정보를 이용한 역 다중화
'🖥️ Computer Science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N] 4장: Network Layer: Overview (데이터 평면, 제어 평면) (0) | 2024.07.07 |
---|---|
[CN] 3장: UDP (User Datagram Protocol) (1) | 2024.07.06 |
[CN] 2장: CDNs (0) | 2024.05.17 |
[CN] 2장: Peer-To-Peer Applications (0) | 2024.05.15 |
[CN] 2장: The Domain Name System, DNS (0) | 2024.05.13 |